반응형
4월 23일과 24일, 국내 증시는 극명한 반전 흐름을 보였습니다.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 완화 기대감이 증시에 온기를 불어넣는가 싶더니, 곧바로 국내 경제성장 부진 이슈가 발목을 잡았는데요. 시장이 어떻게 반응했는지 주요 포인트를 정리해봤습니다.
🧩 4월 23일: 트럼프발 훈풍에 코스피 ‘2520선 회복’
23일 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유화적 발언과 백악관 관계자들의 우호적 시장 코멘트에 힘입어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 코스피는 1.57% 급등한 2525.56에 마감하며 이달 들어 처음으로 2520선을 회복했습니다.
- **기관 매수세(6,861억 원)**가 지수 상승을 주도했고, 삼성전자·SK하이닉스·현대차 등 대형주 대부분이 동반 상승했습니다.
- 코스닥 역시 726.08로 마감하며 3월 말 이후 처음으로 720선을 회복했습니다.
특히 반도체주 강세가 두드러졌습니다. 반도체 장비 및 부품주인 한미반도체(+14.29%), 케이씨텍(+10.83%) 등이 급등하며 투자 심리가 호조를 보였죠.
📉 4월 24일: 성장률 우려에 주춤…다시 약세 전환
하루 만에 분위기가 바뀌었습니다.
- 이날 오전 코스피는 0.15% 하락한 2521.81로 약세 출발.
- 개인은 순매수(1,974억 원) 했지만 외국인과 기관이 매도에 나서며 지수에 부담을 줬습니다.
- 삼성전자·SK하이닉스·LG에너지솔루션 등 시총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였고,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91% 급락했습니다.
반면, 코스닥은 강보합(0.13% 상승) 으로 비교적 견조한 흐름을 유지했습니다.
하지만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가 지속돼, 시장 전반적으로 차별화 장세가 나타났습니다.
🎯 종합 분석: 실적 시즌 + 관세 이슈 = 단기 변동성 주의
이번 이틀간의 흐름은 시장이 얼마나 외부 변수에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트럼프의 발언 하나에 증시가 반등하고, 국내 경제성장률 우려에 다시 고꾸라지는 모습은 그만큼 시장이 불확실성에 노출돼 있다는 뜻이기도 하죠.
또한 SK하이닉스·현대차 등 주요 기업의 실적 발표가 예고된 가운데, 종목별 차별화 장세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 마무리
미국과 중국의 관세 이슈는 여전히 유효하고, 한미 간의 관세 협상 결과도 향후 증시에 영향을 줄 전망입니다.
한동안은 실적 발표와 외교 변수에 따라 증시가 출렁일 가능성이 높으니, 투자자들은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하겠습니다.
반응형
'글로벌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주식 📉 애플·메타 제재! 미국, EU에 선전포고? (2) | 2025.04.24 |
---|---|
미국주식 🚀구글 1분기 실적 발표! 주가 반등할까? (0) | 2025.04.24 |
🚗 미국 자동차업계, 트럼프의 25% 관세에 "생산 중단·해고·파산 위험" (0) | 2025.04.24 |
🇰🇷:🇺🇸 한미 2+2 통상 협의 시작…방위비·트럼프 등장, 변수는? news (1) | 2025.04.23 |
🇺🇸 뉴욕증시, 파월 발언에 '급제동'…나스닥 2.24% 급락! 📉 (0) | 2025.04.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