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합이란? no change : stationary : maintenance
보합은 주식 시장에서 특정 기간 동안 주식 가격이 큰 변동 없이 일정 범위 내에서 움직이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주식 시장에서 보합은 주가가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추세가 없고, 가격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거나 조금씩 오르락 내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강보합 ( bull maintenance)
시세가 상승한 대로 반락하지 핞고 보합하는 것
약보합 ( bear maintenance)
시세가 하락하는 대로 반등하지 않는 것.
보합이 나타나는 이유는 시장 참여자들이 향후의 경제 상황이나 기업 실적에 대해 뚜렷한 예측을 내리지 못하여 주가의 방향을 결정하지 못하거나, 기술적인 분석에 의한 매매자들의 균형이 맞아 떨어지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또한 투자자들 간의 매수와 매도의 양이 비슷하게 균형을 이루어 주가가 크게 움직이지 않는 상태일 때도 보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합이 지속되는 동안에는 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질 수 있으며, 향후의 주가 방향에 대한 예측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주가가 일정 범위에서 움직일 때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적절한 시점에 매수 또는 매도 결정을 내리기 위해 기술적 분석이나 다양한 지표들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상한가와 하한가란?
상한가와 하한가는 주식시장에서 주식 가격의 극단적인 상승 및 하락을 제한하고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설정되는 가격 제한입니다. 이러한 가격 제한은 투자자들이 과도한 가격 변동으로 인한 투자 리스크를 관리하고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며, 공정한 거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조치로 설정됩니다.
상한가(Upper Price Limit)
상한가는 주식의 가격이 일정한 기간 동안 미리 정해진 가격 상한선까지 상승하는 것을 제한하는 가격입니다. 상한가를 설정함으로써 주식 가격이 과도하게 급등하여 시장의 불안을 유발하거나 매매가 부자유롭게 진행되지 않도록 합니다.
하한가(Lower Price Limit)
하한가는 주식의 가격이 일정한 기간 동안 미리 정해진 가격 하한선까지 하락하는 것을 제한하는 가격입니다. 하한가를 설정하여 주식 가격이 과도하게 급락하여 시장의 혼란을 유발하지 않도록 합니다.
이러한 가격 제한은 투자자들에게 급격한 가격 변동으로 인한 재무적 손실을 방지하고 투자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상한가와 하한가가 가격의 자유로운 결정을 제한하므로 시장의 효율성에도 일정한 제약을 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가격 제한은 투자자들의 안정성과 시장의 효율성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023.09.19 - [주식 공부] - 주가의 폭등 또는 폭락 시 주문 방법
댓글